-
반응형
비브리오 패혈증이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패혈증(Vibrio septicemia)은 비브리오 종류의 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되는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이 감염병은 비브리오 세균 종류 중에서 주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와 비브리오 파라헤모라이티쿠스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해 발생합니다.
(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파라헤모라이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균은 위장관 질환 즉 급성 세균성 장염과 식중독(설사, 구토)을 일으킵니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는 피부 연조직 감염과 급성 패혈증을 일으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심각한 감염으로서 높은 사망률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질병 관리청에서는 '3급 법정감염병' 분류 관리하고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
비브리오 패혈증은 크게 상처감염(피부 연조직염)과 패혈증으로 발생합니다. 상처감염이 없이 패혈증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약 16~24시간의 잠복기 후에 복통, 급성 발열, 오한, 혈압저하, 구토, 설사, 권태, 전신쇠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발열이 시작된 지 약 36시간 정도 후에 피부병변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의 주요 증상]
- 고열
- 오한과 발한
- 피부 발진 또는 반점
- 근육통 및 관절통
- 오심, 구토, 복통
- 혈압 저하
- 의식 변화
- 피부 상처 부위의 통증, 부어오름 또는 염증
비브리오 패혈증 증상 비브리오 패혈증의 발생 원인:
만성적인 질환(예: 간질환, 당뇨병)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비브리오 패혈증에 주로 감염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해조류 또는 조개류를 섭취함으로써 발생합니다. 특히 생으로 또는 덜 익힌 해산물을 섭취할 때 비브리오 세균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미 갖고 있는 상처 또는 바다에서 새로 다쳐서 발생한 상처의 피부가 균에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하면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해양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따뜻한 바닷물(18℃ 이상)에 더 흔하게 발견됩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의 치료:
비브리오 패혈증은 심각한 감염으로, 의심되면 즉시 신속하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염 의심 시에는 즉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생제 치료: 주로 넓은 스펙트럼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통제합니다. 항생제는 가능한 한 빨리 시작되어야 합니다.
- 지원적 치료: 유체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액 치료가 중요합니다. 혈압 저하를 통제하기 위해 혈압약도 투여될 수 있습니다.
- 감염 부위 치료: 피부 상처나 괴사조직이 있는 경우 수술 또는 적절한 상처 관리와 소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빠르고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은 50%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저혈압이 발생하면 90% 이상으로 증가됩니다.
예방 및 예방법:
안전한 조리: 해산물을 조리할 때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85℃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여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은 후 섭취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국소적인 식품 안전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 질환 관리: 만성 질환(예: 간질환, 당뇨병)을 가진 고위험군은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는 것을 피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가급적 바닷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만일 바닷물과 접촉하였을 경우 깨끗한 물과 비누로 노출 부위를 씻어 냅니다.
개인위생 유지: 손을 철저히 씻고, 조리 도구와 식기류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은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식중독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을 다룰 때와 식사 전후에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면역력 강화: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것은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면역체계를 지원해야 합니다.
반응형'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염 빨리 낫는 법: 장염 증상,원인 알아보기 (0) 2023.06.14 위축성 위염: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0) 2023.06.06 방광염 증상과 원인, 치료법, 예방법 바로알기 (0) 2023.05.31 간수치 정상범위 (AST, ALT, ALP, GGT, LDH, 알부민, 빌리루빈 등) 제대로 알기 (0) 2023.05.30 요로결석 증상, 원인, 치료, 예방법, 피해야 하는 음식 (0) 2023.05.23